popup zone

[소식] 2025 글로벌 제약혁신기술 GMP 제3차 세미나

등록일 2025-10-27 작성자 학과 관리자 조회 43

2025 글로벌 제약혁신기술 GMP 제3차 세미나

 

주관: 동국대학교 약학연수원, 제약바이오산업학과, 식품의료제품규제정책학과

후원: 식품의약품안전처

 

                                                                                                ㅇㅇ                                 


 

 

개요

배 경 : 최근 해외 규제기관은 QbD를 통한 의약품의 개발 및 제조 효율 성을 인식하고, 제약산업의 디지털화를 위해 최신 제약기술(AI, 연속제조공정, Di )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세미나에서는 QbD 개념과 그 적용 및 사례와 함께, FDA를 중심으로 최신 제약기술 규제 동향의 학습을 통 해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제약바이오기업을 지원하고자 세미나를 마련하였다.

일 시 : 2025. 10. 21(), 10:00~14:00

장 소 : 엠버서더 서울 풀만 2F 그랜드 볼룸

대 상 : 국내외 제약바이오기업 종사자(참가비 무료)

주 제 : 최신 제약기술(AI, 연속공정, QbD, DI )의 기술과 적용사례

공식언어 : 한국어, 영어(동시통역 진행)

 

 

강연자 및 강의개요

 

이름

강연 내용

정영춘

Ph.D Oscotec/Genosco, CMC Head

 

제약 기술(AI, 연속제조공정, Di )FDA 규제 정책의 최신 동향

Recent Trends in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Regulatory Initiatives

본 강연에서는 연속제조에 관한 ICH Q13을 중심으로, 연속 공정의 설계, 제어 및 수명 주기 관리의 내용, QbD PAT 원칙의 실질적인 구현과 함께, 미국 FDA가 제약 혁신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마련하고 있는 규제정책들을 다음의 4가지로 나눠서 소개하고자 한다 첨단 제조 기술(AMT) 프로그램(2024), 의약품 제조 AI(2023), 품질 관리 성숙도(QMM), 컴퓨터 소프트웨어 보증(CSA)(2024) 등의 내용을 살펴본다.

Michelle Gischewski

Founder and Principal Consultant

FDA/EMA 실사 사례 : 규제 실사에서 QbD 접근법의 장점

Understanding Quality-by-Design (QbD) and the regulatory expectations regarding its implementation in Drug Produ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본 강연에서는 QbD의 핵심 요소인 CQA, CPP, Design Space의 개념과 함께, QbD 이해도가 낮아 규제 실사에서 실패한 사례를 몇 가지 소개하고, QbD 이행 측면에서 의약품 허가자료의 제출 또는 GMP 실사대비에 필요한 사항들을 살펴본다.

Dr. Kenneth Ford

CMC Tech LLC

QbD 적용 사례(1) : 초장기 지속형 경구 서방제의 QbD 적용

Ultra-Long Acting Oral Extended Release-Breaking Through the 24 Hour Extended Release Barrier

기존 서방형(Extended Release, ER) 제형은 약물의 서방 방출과 복약 순응도 향상에 기여해 왔으나, 위의 자연운동(Migrating Motor Complex, MMC)으로 인해 약 24시간 방출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다. 본 강연에서는 위 내 체류시간을 획기적으로 연장하여 7일에서 최대 30일까지 안정적인 약효를 유지할 수 있는 초장기 지속형 경구 제형(ULTRA-LONG ACTING ORAL DELIVERY SYSTEM)의 혁신적 설계와 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이러한 기술이 가져올 임상적 혁신, 환자 중심의 치료 향상, 그리고 글로벌 제형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QbD)에 대해 살펴본다

Dr. Christopher Worrall

VP, US Business Development

QbD 적용 사례(2) : 저분자 및 고분자 고용량 약물 제제화를 위한 신기술에 QbD 적용

Applying QbD principles to Novel Technologies for High Drug Load formulation of small and large molecules

본 강연은 저분자 및 고분자 고용량 약물들의 제제화를 위한 QbD의 적용 사례를 기초로, 최근 FDA의 의약품 허가심사와 관련된 주요 규제 이슈 등을 함께 살펴본다.

 

 

프로그램

 

주관

동국대학교 약학연수원

후원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품질과

10/21()

프로그램

연사

비고

09:30-09:50

20‘

등록

 

 

09:50-10:00

10‘

개회사 및 환영사

권경희 교수

동국대학교 약학연수원장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품질과

10:00-10:50

50‘

제약 기술(AI, 연속제조공정, Di )FDA 규제 정책의 최신 동향 :

Recent Trends in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Regulatory Initiatives

Dr. 정영춘

Genosco CMC

 

10:50-11:00

10’

질의 응답

 

 

11:00-11:50

50‘

FDA/EMA 실사 사례 :

규제 실사에서 QbD 접근법의 장점

Understanding Quality-by-Design (QbD) and the regulatory expectations regarding its implementation in Drug Produ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Michelle Gischewski

KM Consulting-Phrma intelligence LLC

동시

통역

진행

11:50-12:00

10‘

질의 응답

 

 

12:00-12:50

50’

QbD 적용 사례(1) :

초장기 지속형 경구 서방제의 QbD 적용

Ultra-Long Acting Oral Extended Release-

Breaking Through the 24 Hour Extended Release Barrier

Dr. Kenneth Ford

CMC Tech LLC

동시

통역

진행

12:50-13:00

10’

질의 응답

 

 

13:00-13:40

40’

QbD 적용 사례(2) :

저분자 및 고분자 고용량 약물 제제화를 위한 신기술에 QbD 적용

Applying QbD principles to Novel Technologies for High Drug Load formulation of small and large molecules

Dr. Christopher Worrall

VP, US Business Development

동시

통역

진행

13:40-13:50

10’

질의 응답

 

 

13:50-14:00

10’

폐회사

권경희 교수

동국대학교 약학연수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