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졸업 후 진로 및 취업분야

1. 병원약국
본교의 특성화 정책에 따라 강화된 임상약학 교육을 받은 후 병원약국 약사로 진출하여 치료효과의 극대화 및 부작용의 최소화를 위한 치료약물 모니터링(therapeuric drug monitoring) 업무를 비롯하여 주사제 조제, 항암제 조제 및 투약, 처방전 검토, 항응고 약물 관련 모니터링 업무 등을 담당한다.

2. 지역약국
본교의 특성화 정책에 따라 강화된 임상약학 교육을 받은 후 지역약국 약사로 진출하여 의약품 처방 검토 및 조제 업무를 비롯하여 지역사회 보건 관련 업무, 약국관리 업무, 의약품 및 식품과 약물의 병용투여 모니터링 업무 등을 담당한다.

3. 대학원 진학
본교의 특성화 정책에 따라 강화된 임상약학 교육을 받은 후 대학원에 진학하여 개인의 선택에 따라 약학 세부전공 분야에서 교육 및 연구과정을 거친 다음 석사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4. 제약회사 연구소 및 국공립 연구기관
본교의 특성화 정책에 따라 강화된 임상약학 교육을 받은 후 또는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위를 취득한 다음 제약회사 연구소 및 국공립 연구기관에서 신약개발을 위한 전임상 연구를 비롯하여 신약 후보물질 탐색, 의약품 제제개발 연구 및 품질관리 업무 등을 담당한다.

5. 대학교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대학에 남아 약사 및 약과학자와 같은 후학 양성을 위한 교육 등을 비롯하여 약학 관련 연구 업무를 담당한다.

6. 국내 및 다국적 제약사
본교의 특성화 정책에 따라 강화된 임상약학 교육을 받은 후 또는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위를 취득한 다음 국내 및 다국적 제약사에 진출하여 의약품 개발 및 학술 업무와 임상시험 모니터링 등을 비롯한 임상시험 관리 및 시행을 담당한다.

7. 보건 행정 및 신약 허가 관리자
본교의 특성화 정책에 따라 강화된 임상약학 교육을 받은 후 또는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위를 취득한 다음 국립보건원, 식품의약품안전청 등의 보건 행정 및 신약 허가를 담당하는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에 진출하여 신약의 허가 및 관리를 비롯하여 의약품 허가 및 관리, 보건 행정 업무 등을 담당한다.